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0

단기투자 vs 장기투자(가치투자) 0. 주식시장에 뛰어든 사람들이 많다보니, 유튜브나 인터넷을 보면 단기투자와 장기투자에 대한 갑론을박이 많은것을 알 수 있다. 개인적으로 단기투자든 장기투자든 돈만벌면 그만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지만, 웬만하면은 장기투자(가치투자)를 권한다. 물론 단순히 주식투자를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로 나누기 어렵고 그 안에서도 추세추종전략이니, 차트매매니, 가치투자니 저PER 전략이니 하고 나뉘기는 하지만, 이 시간에는 간단하게 단기투자, 장기투자 두개로 나눠서 이야기 해보자. 1. 단기투자는 굉장히 어렵다. 거래량과 차트, 호가창을 분석하고 때로는 단기이슈에 따라 움직여야 한다.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하기 굉장히 어려운 시장이다. '주식이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하는것은 불가능하다'는 랜덤워크가설이라는.. 2021. 2. 28.
코로나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0. 요새 화두는 뭐니뭐니해도 부동산이다. 주식은 안해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지만, 부동산은 우리가 사는 공간 그 자체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피부에 와닿는 정도와 관심도가 다른 것 같다. 1. 코로나로 인해 집에서 일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코로나 이전에는 재택근무란 개념도 생소했는데, 온라인으로 업무처리가 가능한 대한민국 인프라에서 코로나로 점점 재택근무를 늘려가는 기업이 많아지고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집은 더욱 중요해졌다. 2. 그런데 상가건물은 하락세인 듯 보인다. 중국인들로 발 디딜틈이 없었던 명동거리의 현재 상황을 뉴스기사 검색을 통해 살펴보면, 중국인 관광객들이 사라진 탓에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폐업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한다. 비단 명동뿐만이 아니다. 굳이 뉴스기사를 검색해보지 않.. 2021. 2. 25.
금리 상승과 코스피 지수 하락 0. 오늘 코스피 지수가 2.45% 하락한 2994포인트로 마감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어제는 제롬 파월 미연준의장이 초저금리와 양적완화를 유지하겠다고 했는데, 시장에 돈이 풀리니까, 주식시장에서는 호재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코스피 지수가 하락했을까? 1. 2020년 초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근 1년간 초저금리와 양적완화로 시장에 엄청난 돈이 풀렸다. (이를 유동성이 공급되었다고 표현한다) 이러한 돈이 결국 자산시장으로 들어갔다. 금리를 인하하면 그만큼 돈을 더 쉽게 빌릴 수 있고 가용할 수 있는 돈이 많아진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빌린돈으로 자산에 투자했고 그 결과 모두가 알고있듯이, 부동산, 주식, 비트코인과 같은 자산들의 가격이 상승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낮은 금리와 양적완화.. 2021. 2. 24.
지금이라도 주식을 시작해볼까? 0. 요즘 주식투자가 열풍이다. 주식을 안하던 친구가 계좌개설을 묻는가하면, 회사에서는 밥먹을때 동료들과 주식얘기를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다. 거기에 몇년전이면 상상도 못할, 주식을 주제로 한 예능이 나올정도로 작년부터 주식투자는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근 몇년간은 자산을 들고 있던 사람들이 부자가되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가난해지는 빈부격차가 엄청나게 커져버린 시기였기 때문에 작년 주식시장은 자산이 없던 사람들이 위기감, 아니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패닉바잉을 했던 해였다고 볼 수 있다. 1. 코로나19로 작년 3월 19일 코스피는 1457포인트 까지 빠져버렸다. 세간에서는 코스피 지수의 향방을 W 또는 L자형으로 그것도 장기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측했었다. 결과는 누구나 알듯이 V자로 .. 2021. 2. 23.